![](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TgPFl/btsISIbLmis/xfzKqHu4OVDAkfZjLdSWD0/img.jpg)
87년 소년선데이 37호부터 연재를 시작한 타카하시 루미코의 “란마1/2”은 “시글별 녀셕들”과 “메종일각”을 통해 일본 최고의 여성 작가로 올라선 타카하시 루미코의 명성에 걸맞는 모습을 보이면서 타카하시 루미코의 명성을 굳건하게 만들어 주었고 원작의 대히트와 함께 국민적인 인기작가의 반열에 올려놓으면서 역시 타카하시 루미코!라는 찬사를 쏟아내게 하였다.특히 TV애니메이션과 극장용 애니메이션으로 미디어 믹스의 성공과 함께 성우 유닛 “DOCO”의 히트는 다양한 형태로 재생산되고 확장되면서 충성도 높은 강력한 팬덤을 확보하게 되었고 주간소년선데이 96년 12호에서 연재가 종료 된 이후에도 꾸준한 사랑을 받으며 시대를 넘어 독자들에게 사랑받는 명작이 될 수 있었다.무엇보다 “시끌별 녀셕들”과 “메종일각”이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fUuck/btrytjHocXu/0bec3wMVEhjE1xleCyoTK0/img.jpg)
인어시리즈의 성공은 타카하시 루미코에 대한 평가를 단숨에 수직상승시켰다. 물론 그녀의 대표작 시끌별 녀석들이나 메종일각만으로도 작가에 대한 평가는 최상위에 위치시킬 수 있지만 인어시리즈의 성공은 타카하시 루미코의 작가적 역량에 한계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며 그녀의 천재성을 각인시킬 수 있었다. 루믹월드라고 부르는 그녀의 작품 세계는 러브 코메디 중심의 장편 연재작을 중심으로 일상의 소소함을 담아 삶에 대한 깊은 성찰과 잔잔함 여운을 전해주는 루미코 극장, 그리고 데뷔 초기발표하였던 다채로운 단편들이 어우러지면서 폭넓은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었다. 코믹, 호러, SF, 드라마, 일상에서 환상을 넘나드는 다채로움은 ‘월드’라는 수식어가 전혀 아깝지 않을 정도였고 동시에 그녀의 작가적 재능을 상징하는 단어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hyJG7/btri0bxy8mV/fjl77LbyYINkDhQUuXNYI0/img.jpg)
개인적인 만족도나 작품에 대한 평가와는 별개로 사실 경계의 린네는 타카하시 루미코라는 네임밸류의 가치에 걸맞는 결과는 보여준 작품은 아닙니다. 단행본의 판매량, 애니메이션의 시청률 등 상업적인 성공 지표가 전작들에 비해 낮은 이유도 있지만 이전에도 이야기했다시피 타카하시 루미코의 작가적 원숙함이 오히려 루믹월드의 매력에 충돌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국내에서도 란마나 이누야샤에 비해 관심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었고 결과적으로 최종권 역시 현지 발매일과는 큰 텀을 두고 이제서야 발행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변함없는 Rumic world의 Boy Meets Girl로 마무리 하면서 팬들에게 최고의 선물을 선사하게 됩니다. 이 마지막 장면을 보는 순간 수많은 추억들이 떠오르게 됩니다. 타카하시 루..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B0G60/btqSdsZKA51/cvKLM45DJ1fQpq5Zi2nEf0/img.jpg)
한편 한편 작가의 애정이 느껴진다. 타카하시 루미코의 단편에 대한 감상을 이야기 할 때 매번 같은 소리의 반복이기 때문에 이제는 식상하게 들릴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여전히 반복해서 이야기하게 된다. 여성작가 특유의 감수성이 돋보이는 작품, 살인적인 주간연재 중에서 잊지 않고 발표할 정도로 작가의 애정이 느껴지는 작품, 읽고 있는 내내 독자들의 마음을 풍성하게 만들어 주는 걸작 단편들이라고 말이다. 표제작 마녀와의 디너를 포함해서 수록된 6편의 단편들은 황혼기를 공유하는 남자가 한창 연하의 젊은 여성에게 호감을 가지면서 생기는 이야기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단순히 신체적인 쇠퇴만이 아니라 사회적인 입지가 축소되고 불안해지며 가족 내에서도 권위를 상실한 가장으로 모습을 현실적으로 묘사하면서 어린 여성에게 호감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Ui4kZ/btqw7bRzbKK/tixstL44GPUVQblHdeRl61/img.jpg)
1파운드의 복음을 읽으면서 잔잔한 감동을 느끼고 감상하는 내내 웃음을 잃지 않는다면 권투선수로서 필수적인 식욕을 억제하지 못하고 감량에 실패하는 주인공과 주인공이 한눈에 반해버린 수녀님의 러브스토리가 아니라 주인공이 매번 상대하는 상대선수들의 이야기 때문일 것이다. 모든 것은 포기해도 복싱을 좋아하는 것만큼은 포기할 수 없다는 서민들의 이야기가 가득 담겨 있다. 누군가는 새로 태어날 아이의 아빠이고, 누군가는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이다. 자신의 재능을 믿고 있다 주인공의 럭키 펀치에 KO패를 당하는가 하면, 여전히 권투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현재의 생활 속에서 틈틈히 권투에 매진하는 사람들도 있다. 권투에 재능이 없지만 좋아한다는 마음만으로도 링 위에 서는가 하면, 나약한 자신을 변화시키기 ..
타카하시 루미코는 단편에서 언제나 가정의 모습을 담는다. 그녀의 주력 작품들이 보여주었던 좌충우돌 정신없이 펼쳐지는 개그의 향연 대신 조용하지만 묵직하게 독자들의 가슴을 파고든다. 일상의 소소한 웃음 포인트를 찾아내고 살며시 미소 짓게 만들며, 삶이라는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도록 가정을 무대로 우리들의 삶의 모습들을 담아 따스한 감성으로 잔잔한 여운을 전해준다. ‘P의 비극’, ‘전무의 개’, ‘붉은 꽃다발’로 이어지는 3권의 단편 모음집을 통해 전해주었던 감동은 다시 한번 ‘운명의 새’로 이어지게 된다. 한층 더 세상을 바라보는 여유로운 시선과 보다 따스해진 감성, 그리고 날카로운 시선을 통해 웃음 속에 뼈있는 이야기들을 일상 속에 녹여 내었다. 자연스럽게 공감하고 같은 눈높이에서 울고 웃을 ..
시끌별 녀셕들(우루세이 야츠라) 신인작가의 미성숙함이 남아있었기 때문에 가장 빛날 수 있는 작품이다. 그림 실력은 물론이고, 스토리나 연출에 있어서 풋내기의 느낌이 날 수 밖에 없는 어설픔이 오히려 타카하시 루미코의 강점을 돋보이게 할 수 있었고 다듬어지지 않은 거칠음이 있었기 때문에 가장 빛나는 원석이 될 수 있었다. 시끌별 녀셕들 이후 란마와 이누야샤, 경계의 린네로 이어지는 소년선데이에서 연재하였던 루미코의 작품들 중에서도 단연코 돋보이는 이 작품은 타카하시 루미코의 작품세계에서 가장 앞선 곳에 있음은 물론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면서 그녀의 후속 작들에 대한 평가를 절하시켜 버릴 정도였다. 아니! 세월이 지날수록 타카하시 루미코의 그림은 다듬어지고 연출은 한결 간결하면서도 능숙해졌는데? 나이를 먹어..
현재와 같은 로맨틱 코메디 또는 러브 코메디 장르가 꾸준한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마츠모토 이즈미의 ‘오렌지 로드’(집영사의 주간소년점프 1984년 15호부터 1987년 42호까지 연재-1986년 15호부터 87년 11호까지 휴재가 있었음), 타카하시 루미코의 ‘메존일각(도레미 하우스: 소학관의 청년지 빅코믹 스피리츠 1980년 창간호부터 1987년 19호까지 연재)’의 대히트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소년지와 청년지에서 각각 성공을 거두면서 수많은 미디어로 재생산되고 현재까지도 꾸준히 사랑 받으면서 수많은 만화팬들에게 화자되는 명작으로 기억되는 작품을 넘어서 이후 만화계에서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강담사의 소년매거진에서 연재한 아카마츠 켄의 러브히나(러브 인 러브)를 비롯하여 수많은 메..
타카하시 루미코의 작품이 가진 근본적인 매력이 작품의 완성도나 스토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 빠르게 진행되는 에피소드 안에서도 빛나는 개그 감각이 살아 있고 긴 호흡이 필요한 스토리 전개에서도 긴장감을 살리면서도 웃음을 잃지 않는 유머러스함이 함께 하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Trend에 민감하고 편집부와의 마찰이 심한 소년지에서도 여성작가 특유의 감성이 돋보이는 연출을 적절히 삽입하면서 여타의 소년만화와는 다른 느낌으로 오랜 세월 동안 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아왔기 때문에 매너리즘에 빠지더라도 여전히 신뢰를 보낼 수 밖에 없는 작가이기도 하다. 쉽게 말해 ‘이런 내용인데 어때?’라고 할 때 ‘너무 뻔한 것 같아 별로일 것 같은데.’라고 대답할지라도 ‘타카하시 루미코의 작품인데?’라고 한번 더 이야기 한다면..
◆ 타카하시 루미코 신작 이번 봄 연재 예정!! 이누야샤가 종반으로 진행 될수록 많은 팬들을 실망 시켰다곤 하지만 타카하시 루미코에 대한 신뢰까지 무너지지는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최소한 그녀의 재능은 재미라는 면에서는 확실한 신뢰감을 심어주고 있으니까 말입니다. 여전히 소년지에서 꾸준하게 활동하며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타카하시 루미코가 이번에는 어떤 작품으로 독자들에게 다가오게 될지 무척이나 기대됩니다. 특히 최근 소년선데이에 이렇다할 대표작이 나오지 않고 있었는데(이미 코난은 초장기 연재로 인한 관성으로 움직이고 하야테나 신만이 아는 세계는 다소 중량감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크로스 게임 역시 애니화라는 호재를 맞이하였지만 아다치의 마법이 예전만큼 못한 것도 사실이죠.) 타카하시 루미코 여사께서 멋진..
- Total
- Today
- Yesterday
- 아다치 미츠루
- 클램프
- 원피스
- 테즈카 오사무
- 센티멘탈 져니
- 코난
- 리얼
- 불새
- 괴도 키드
- 버지니아 울프
- 타카하시 루미코
- 오다 에이이치로
- 은혼
- 제임스 조이스
- 아오야마 고쇼
- 카키노우치 나루미
- 타나카 요시키
- 타케우치 나오코
- 카타야마 카즈요시
- 밀란 쿤데라
- 매직쾌두
- 토리야마 아키라
- 센티멘탈 그래피티
- 율리시스
- 마츠모토 타이요
- 명탐정 코난
- 야쿠시지 료코의 괴기사건부
- 우라사와 나오키
- 이노우에 타케히코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