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NOTE

곰(The Bear) by 윌리엄 포크너

sungjin 2013. 1. 20. 02:30



포크너에게 있어서 미국의 남북전쟁은 운명과도 같은 존재이지 않았을까? 포크너가 평생에 걸쳐 자신의 작품을 무대로 활용하게 된 요크나파토파는 사라져버린 미국 남부사회의 모습들을 박물관처럼 보관하고 필요할 때마다 하나씩 소설의 모티브로 건져 올리고 있지만 결국 요크나파토파가 탄생될 수 있었던 핵심은 미국의 남북 전쟁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남북전쟁의 결과로 파생된 다양한 사회 형태의 변화는 윌리엄 포크너에게 있어서 소설 속에서 극대화 될 수 있었고 포크너의 작품 세계는 미국의 역사의 관통을 이루어 낼 수 있었던 것이다.

 

(The Bear)에서 포크너는 한 소년의 이야기를 미국 사회의 모습을 겹쳐내면서 문학이라는 형태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는 사회적 반영을 훌륭하게 구현하였다. 그리고 이 같은 이면에는 남북전쟁이라는 미국의 역사가 존재하고 있었다. 대자연에 맞서 상징적인 존재로 군림하고 있는 거대한 곰과의 사투를 통해 한 소년의 성장이야기로 진행 될 줄로만 알았던 이야기는 소년의 이야기와 함께 자연과 인간의 대립 속에 조금씩 인간들에게 침범되어가는 자연의 변화, 조금씩 서구화되어 가는 인간 사회의 변화, 그리고 아메리카 대륙을 침범하고 노예제도를 통해 사회를 유지시켜 나가야만 했던 미국의 남부사회의 모습, 그리고 남북전쟁 이후 변화 된 미국 사회의 모습에 이르기까지 짧은 이야기 속에 다양한 미국의 모습들을 겹쳐내었다. 특히 곰이라는 상징적인 존재를 바라보는 각자의 입장을 다양화하고 때로는 동경의 존재를 비추어지고, 때로는 극복의 대상으로 묘사하면서 곰과의 사투를 통한 한 소년과 주변 사람들의 독립된 이야기로 완벽하게 구성하였다. 때문에 이 작품을 읽으면서 표면에 드러난 이야기만으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이야기의 무대가 상징하는 감추어진 이야기들까지 깊이 있게 파고들면서 작품을 읽는 즐거움을 더해주었다.

 

과거와 현재의 시점을 다양하게 넘나들며 이야기는 조금씩 복잡성을 띄어가고 각각의 캐릭터가 지닌 상징성과 이야기의 무대가 함축하고 있는 속성들이 더해진다. 윌리엄 포크너의 작품답게 (The Bear)이라는 작품 역시 본질에 가까이 접근할수록 독자들에게 있어서 부담스러워진다. 물론 소리와 분노에서 보여주었던 충격과 놀라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여전히 포크너가 선사하는 소설의 즐거움-작품을 읽어나가면서 직간접적으로 즐기게 되는(퍼즐을 풀어간다거나 수수께끼를 해결해 나가는 것 같은) 희열-이 있다. 다시 한번 읽어도 여진히 즐길 수 있는 작품이고 새롭게 다가올 수 있는 작품이다.

 

포크너가 작품 속에서 보여주는 것들은 자유롭다. 시간의 이동이 자유롭고 시점의 변화, 그리고 그가 펼쳐낸 이야기의 확장성이 자유롭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나 포크너의 영원히 정지해 있는 것이 있다면 요크나파토파. 물론 요크나파토파 사가는 매번 조금씩 다른 이야기를 들고 와서 다른 주제를 선보여왔지만 작품군들이 모여서 하나의 거대한 요크나파토파 사가를 완성하게 된다. (The Bear)에서 보여준 요크나파토파는 조금은 다른 곳에 위치하고 있는 듯 하지만 결국 요크나파토파의 세계를 더욱 확장시키고 매력적으로 완성해 내었다. 하지만 (The Bear)이라는 작품은 요크나파토파에서 벗어나서 또 하나의 독립된 작품으로 접근해도 충분하지 않을까? 미국남부사회의 몰락을 담아낸 압축된 사회의 축소판이 아니라 사회의 모습, 역사의 흐름을 소설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었던 이야기로 말이다. 물론 자연의 최후보루로 묘사된 곰에 대한 동경을 지닌 한 소년의 성장이야기로 즐길 수 있어도 좋고